연구 결과, 이러한 초기 T세포의 동적 변화가 무진행 생존기간(PFS), 전체 생존기간(OS)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며,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진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복잡하거나 부담이 큰 조직검사 대신,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한 교수는 “면역항암제는 간세포암 치료에 있어 큰 진전이지만,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은 아니며 일부에서는 치료 반응이 미비하거나 부작용이 나타나는 한계가 있다.”며 “이번 연구는 비침습적인 혈액검사를 통해 치료 초기에 면역세포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어떤 환자가 치료에 잘 반응할지를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정밀의료 실현에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검증을 확대해,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측 도구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지원 교수는 현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에 선정되어, 인공지능, 임상데이터, 면역분석을 활용한 간암 면역항암치료 바이오마커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수상 연구 역시 해당 사업의 신진 연구자 지원 과제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향후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정밀의료 기반 시스템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